실수
실수는 정수에 소수점이 붙은 수를 말한다.
https://standout.tistory.com/22
숫자의 종류, 실수 무리수 유리수 정수 자연수
간단히 예시로 정리하자. 실수 floating point number 3.14 무리수 irrational number 𝝅 유리수 rational number ⅛ 정수 integer ... -2, -1, 0, 1, 2 … 자연수 natural number 1, 2, 3, 4, 5, 6 … 실수, floating point 3141592란 수에
standout.tistory.com
부동소수점
부동소수점이란 근사값방식으로 표현하는데,
실수를 컴퓨터상에서 하여 표현할 때 숫자를 나열하고 소수점을 움직이는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이다.
고정 소수점 방식보다 넓은 범위의 수를 나타낼 수 있어
과학기술 계산에 많이 이용되나,
*고정 소수점 방식보다 연산 속도가 느리고
근삿값이다 보니 정확도가 떨어져 별도의 전용 연산 장치를 두는 경우가 많다.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B%B6%80%EB%8F%99%EC%86%8C%EC%88%98%EC%A0%90
부동소수점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초기의 전기기계식 프로그래밍 가능한 컴퓨터 Z3에는 부동소수점 산술 기능이 포함되었다. (뮌헨의 국립 독일 박물관) 부동소수점(浮動小數點, floating point) 또
ko.wikipedia.org
*고정 소수점
소수점과 함께 소수를 나타내는 것
한정된 메모리에서 부동소수점 방식보다 좁은 범위의 수만 나타낼 수 있다
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A%B3%A0%EC%A0%95%EC%86%8C%EC%88%98%EC%A0%90
고정소수점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-->
ko.wikipedia.org
두 방식은 연산절차에서 차이점을 보이는데,
부동소수점은 곱셈이 간편하고, 고정 소수점은 덧셈/뺄셈이 간편하다는 차이를 보인다.
그렇다면
0.1은 어떻게 나타낼까?
0.1 = 1.0*(10^(-1))로 나타낼 수 있다.
* 가수 부분(1.0), 지수 부분(-1)
'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방법론, 폭포수 Water fall 와 애자일 agile (0) | 2023.03.03 |
---|---|
OSI 7 계층, 응표세전네데물 (0) | 2023.03.03 |
Code Block, 코드블럭이란? (0) | 2023.03.02 |
표준입출력, System.in, System.out, System.err (0) | 2023.03.02 |
보수란? (0) | 2023.03.02 |